금통위 기준 금리 유지

한은 대출 금리 동결

한국 중앙 은행 금융 통화 위원회가 기준 금리를 연 3.5%로 유지하였습니다. 2월과 4월에 이어 세 번 연속 금리를 동결 하고 있는데, 이번에 또다시 고정을 알리하면서 통화 정책 방향 의결문 전문을 공개했하였습니다. 물가 상승곡선이 약화 흐름을 유지 하겠지만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추측하였으며,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다양한 성장 흐름이지만, 성장세가 점차 침체 할것으로 예상할 것이라고 공시하였습니다. 또한, 글로벌 물가상승은 약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상승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 곡선이 지속적으로 침체되는 현상이라고 전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경제 지수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물가 상승률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 이라고 전망 하였습니다.

대출금리

수출 부진에 따른 경기 둔화

한국은행도 인정했듯이 현재 소비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지만 수출 부진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 성장 동력이었던 ‘수출’이 부진하면서 ‘상저하저’ 전망에 좀 더 힘을 보이고 있는데, 수출 주도형 성장은 완전히 끝났다는 국책 연구 기관인 산업연구원 진단과 비슷한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산업 연구원의 통계에 따르면, 따르면 최근 10년(2013~2022년) 동안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2.8%로 세계 무역 증가율(3.1%)보다 낮았으며 한국 은행 자료에도 최근 10년간 수출 성장률 경제 성장률보다 낮은 것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현재 수출 주도형 성장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원인 일것이며, 코로나 사태가 종식되면서 긴장의 완화로 국내의 소비 촉진이 발발되면서 겨우 버티고 있는 형국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날 처음으로 통화 정책 방향 결정 회의에 합류한 박춘섭·장용성 신임 금통위원의 습성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관심사입니다. 박 위원은 기획 재정부 ‘예산라인’ 출신으로, 취임사에서부터 긴축 기조에 따른 경제 부담을 언급하는 등 ‘비둘기파’ 성향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장 위원은 뚜렷한 성향을 보이지 않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경제 자문기구에 몸담았던 만큼 실물 경제와 경기 침체를 경계하는 성향을 드러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금통위의 다음 통화 정책 방향 결정 회의는 7월에 시작되는데, 이때까지 기준 금리가 3.50%로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연내 금통위가 기준 금리를 인하할 지 여부를 놓고 엇갈린 관망을 내놓고 있다고합니다.

금리 인하 시기 상조

물가 상승률이 침체하고 있지만 목표치인 2%대에 다다르지 못하고,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에너지·식품 제외) 상승률은 4%에서 좀처럼 인하되지 않는 탓에 연내 기준 금리 인하는 시기 상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연준이 한 차례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있는 가운데 한은이 먼저 기준 금리를 인하하면 한미 금리 역전 격차는 2.0%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는 점도 한국은행이에는 부담으로 판단될 것입니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아파트 가격 낙폭이 축소되고 대출 금리 하락으로 가계 대출 증가 압력이 우세해지는 등, 부동산과 대출 관련 금융 안정을 해치는 정책 조정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시시한바 있습니다. 반면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금리 인하 압력이 높아질텐데, 한은이 이를 완전히 묵과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금리 변동성 재고

앞으로 소비자 물가 증가률은 1~2월 중에도 5% 내외를 상회하다가 이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외 경기 둔화폭,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전가 정도, 환율 및 국제 원자재 가격 움직임 등과 관련한 관측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입니다. 특히, 그동안 국내 에너지 요금은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인상 부담을 정부와 공공 부문이 일정 부분 흡수하면서 상승폭이 주요국에 비해 크지 않았는데, 금년에는 이렇게 누적된 요금인상 압력이 점차 가격에 반영되면서 국내 물가 인상률의 둔화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또한 환율과 국제 원자재 가격의 경우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 중반으로 줄어지고 국제 유가도 70달러대에서 등락하는 모습이지만 주요국 통화 정책 변화, 방역조치 완화 이후 중국 경제의 회복 속도,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상황 등에 따라서는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여지를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정보제공 : 이지론 (ezloan.io)